엑셀 근속연수 /근속일수 계산하기

엑셀에서 근속연수 /근속일수 /근속개월을 구하는 방법은 다양한데요. YEARFRAC 함수를 사용하면 근속연수, 근속개월을 소수점 형식으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근속연수, 근속개월, 근속일수를 구하고 소수점으로 산출된 근무연수를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근속연수, 근속개월, 근속일수 구하기

YEARFRAC 함수는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의 날짜 수가 일 년 중 차지하는 비율로 반환하는 함수인데요. 소수점 형식의 연도 수와 개월 수를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근속연수 1.5는 1년 6개월을 나타냅니다. 1년을 비율로 표현하기 때문에 0.5개월은 6개월을 뜻합니다.

1) YEARFRAC 함수

 = YEARFRAC ( 시작일, 종료일)

YEARFRAC 함수는 시작일과 종료일을 입력하면 해당 기간을 1년 중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데요. 단 시작일과 종료일은 일련번호 형식의 날짜를 사용해야 합니다. 엑셀에서 사용하는 날짜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엑셀 숫자를 날짜로 변경하기

2) 근속일수 구하기

근속일수는 일련번호 형식의 날짜 데이터라면 퇴사일에서 입사일을 빼면 되는데요. 하지만 계산해보면 약간의 문제가 있습니다. 만약 2024-01-02 입사하고 퇴사를 2024-01-04 에 했다면 2일 근무한 것로 계산됩니다. 하지만 실제 근무일은 3일입니다. 즉 퇴사일 – 입사일 +1을 해주면 총 근무일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퇴사하지 않은 근속 중이라면 퇴사일 대신 “TODAY()” 함수를 사용하면 오늘까지 근무일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근속일수(총 근무일) = 퇴사일 -입사일 + 1 or
                           = 퇴사일 - TODAY() + 1

3) 근속연수, 근무개월 구하기 – YEARFRAC

YEARFRAC 함수를 사용하면 소수점 형태의 연도 수를 계산할 수 있는데요. 소수점 앞에 있는 숫자는 연도 수를 나타내고 소수점 아래 숫자는 개월 수를 표시합니다. 구해진 소수점 형태의 연도 수 데이터에 12를 곱하면 해당 개월 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근속 중이라면 TODAY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하시기 바랍니다.

근속연수 = YEARFRAC ( 시작일, 종료일)
근속개월 = YEARFRAC ( 시작일, 종료일) * 12
근속연수-근속개월-근속일수-계산하기

4) 연수, 개월 나눠서 추출하기

YEARFRAC 함수를 사용하여 구한 데이터는 연도 수, 개월 수로 표시할 수 있었는데요. 소수점 앞에 숫자와 소수점 아래 숫자를 적절히 추출하면 연도 수, 개월 수를 나눠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함수는 INT 함수와 MOD 함수가 있는데요. 각 함수의 기능과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함수명구문설명
INT=INT(실수)양수일 때 실수를 내림하여 정수를 반환
음수일 때 0에서 가장 먼 방향으로 내림
– (ex -7.5는 -8로 변환)
MOD=MOD(숫자, 나눌 제수)숫자를 나눌 제수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
INT, MOD 함수

위에서 살펴본 MOD, INT 함수와 조합하면 소수점 형태의 근속연수에서 연도 수와 개월 수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먼저 INT 함수를 사용하면 구해진 소수점 형태의 근속연수에서 소수점을 제외한 연도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근속 연도수를 제외한 근속 개월수는 소수점 아래 데이터를 불러오면 되는데요. MOD 함수를 이용하여 “1”로 나누면 소수점 아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한 데이터에 12를 곱하여 INT 함수를 통해 소수점을 제거하면 근속연수를 제외한 개월 수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근속 연수 추출 = INT ( YEARFRAC ( 시작일, 종료일 ))
근속 개월 추출 = INT ( MOD ( YEARFRAC ( 시작일, 종료일 ),1) *12)
근속연수-근속개월-추출하기

Leave a Comment